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시작

게시물검색

총게시물 :12 / 페이지 :1/2

12. 이종헌 추모비 2016-11-21
애국지사 이종헌(李鍾憲)은 고종(高宗)27년(1890) 4월 9일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91번지에서 규삼(奎三)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일찍부터 고향에서 한문을 배우고 있었는데, 마침 승정원(承政院)의 동부승지 벼슬을 지내던 김병년(金炳秊)이 안면읍 승언리로 낙향하여, 신교육을 통해 조국광복을 꾀하고자 1906년(광무 10) 12월에 광영신숙(廣英新塾)을 세웠다.(신교육 과정 이 적용되었으므로 통칭 학교라 호칭했다)

이때 이종헌은 한문 공부를 그만두고 새로 세운 광영학교 고등과에 입학하여 1918년 본교를 졸업하고 이에 모교의 교사로 취임했다.
모교의 교사가 된 이종헌은 남달리 애교심과 사명의식이 투철하여 후진 교육에 최선을 다하였음으로 학교는 나날이 발전해 갔다.
이종헌은 적극적인 애국활동의 실천과 독립운동 자금조달의 목표 달성을 꾀하기 위해, 가재창(買在昌)·오몽근(吳夢외)·임정호(林楨鎬)·염성환(廉星煥)·편무연(片茂捐)·이재국(李在國)·박준용(朴準用)·박봉래(朴鳳來) 등을 단원으로 가입시키는 한편, 태안·부석·남면 등 

서산 일대의 애국지사 들을 순방하여 대한독립단에 가입할 것을 권유하는 동시에, 군자금을 모금하여 상해 임시정부 재무관인 서병철 등에 전달하였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독립단 활동에 심혈을 쏟은 이종헌은, 마침내 일경(日本譽察)에 체포되어 잔인한 고문을 받았던 것이다.
조국광복과 더불어 1948년 합법적인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니 이에따라 안면면 초대 면장으로 이종헌이 추대되어 면민 복지증진에 주력하여 오다, 마침내 1957년 6월 18일 타계하니 향년 67세였다.

이같이 일생 동안 나라 사랑에 몸받쳐 온 그의 고귀한 뜻은 영원히 빛날 것이다. 지난 1977년 12월 13일 대한독립 유공자로 대통령의 표창을 받았다.
11. 이화산3층석탑 2016-11-21
이화산(170미터)분 원북면 마산리에 위치하고 있다. 원이중학교의 맞은편에 있는 이 산의 중턱에 절터(廢寺址)가 있는데, 나무숲에 묻히어 보이지 않는다.
이 절터 바로 밑에 3층석탑이 있는데, 이는 완전한 본래의 석탑이 아니라 해체 된 것을 무리하게 옥개석만 올려 놓은 볼품 없는 일부 훼손된 탑이다.
그런데 이 탑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런대로 기단부와 탑신부는 있으나 탑두부만 보이지 않는다.
실은 탑신부에도 2.3층 사이에 있어야 할 옥신이 없고 옥개석만 포개져 보기 흉하게 놓여 있다.
탑의 높이는 하대갑석에서 3층의 옥개석 상단까지 150cm이며, 그리고 기단부 중에서 지대석과 하대석은 보이지 않고 하대갑석에 중석받침이 없이 상대 중석이 있고, 이 위에 상대갑석이 놓여 있는데, 이 갑석 위에 옥신괴임이 없이 옥신만 놓여 있고, 이 옥신 위에 1층 옥개석이 얹혀 있다.
또한 이 옥개석 위에 옥신 없이 두 개의 옥개석만 포개져 있다.
그러나 현존의 상태에서 탑의 규모를 살펴보면, 하대갑석의 크기는 가로 130cm, 세로 102cm, 상대중석 가로 49cm, 높이 29cm, 상대갑석 가로 95cm, 세로 95cm, 두께 11.50cm의 정4각형이고, 1층 옥신은 가로 42cm, 높이 33cm로 이루어진 화강암의 석탑인데, 신라 양식이 가미된 고려후기의 탑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이 석탑은 해체된 것을 억지로 맞추어 놓았기 때문에 미관상 매우 볼 품없이 되었지만 이를 다시 손질하고 2.3층의 옥신을 보완한다면 아름다운 석조 예술의 본래 모습을 되찾게 될 것이다.
10. 흥주사3층석탑(興住寺三層石塔) 2016-11-21
이 흥주사3층석탑은 태안읍 상옥리(泰安邑 上玉里)산 1154에 위치한 흥주사 대웅전(大雄殿) 앞의 3층석탑을 말하는 것이다.
이 3층석탑이 언제 조성(造成)된 것인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흥주사의 창건 시기(創建時期)가 고려 말엽(高麗末葉)이므로, 이 무렵에 세워진 것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 석탑은 상층 부분이 파손된 것을 다른 잡석(雜石)으로 무리하게 보완(補 完)하였기 때문에 미관상 볼품이 없다.
그리고 이 탑은 지난 1973년 12월 24일 충청남도 지정문화재 제28호로 지정을 받아 현재 관리중에 있는데, 높이는 약 3미터로서 화강석(花崗石)으로 되어 있다.
9. 남문리5층석탑(南門里五層石塔) 2016-11-21
이 남문리5층석탑은 태안읍 남문리 435~1에 위치하고 있는데, 건립 연대(建 立年代)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 탑의 구조를 살펴보면 기단(基壇)은 신라 양식(新羅樣式)과, 옥개 석(屋蓋石)은 백제(百濟)의 기법(技法)이 가미(加味)되어 있으나 전체적인 탑의 맵시로 보아 고려시대(高麗時代)의 후기 작품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 같다.
또한 이 5층석탑은 태안군내에 실존하는 석탑 중에서 비교적 손상이 심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 시대의 불적(佛跡)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이 남문리5층석탑은 지난 1975년 2월 5일에 문화재 자료 제201호로 지정되어 현재 관리중에 있는데, 높이는 약 5미터에 달하는 화강석(花崗石)으로 이루어진 석탑이다.
몇년 전 밭을 경작할 때 기와 조각이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옛날 이곳에 절이 있었음을 말하여 주고 있다.
또한 이 지역에 거주하는 촌로(村老)들의 구전(口傅)에 따르면 옛날 이곳에 대규모의 절이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석탑에서 약 20여미터 서북(西北)쪽의 민가(民家)앞 나무 밑에서 소형(小形)의 석불(石佛)을 박춘석씨가 지난 1975년에 발견한 일이 있다.
이런 것들은 모두 이곳에 절이 있었음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8. 한의산성(漢衣山城) 2016-11-21
이 한의산성은 태안읍 장산리(泰安邑長山里)와 소원면 시목리(所遠面枾木里)의 경계에 자리한 석성(石城)을 말함인데, 그 둘레가 200미터에 지나지 않는 비교적 소규모의 산성이다.
이 한의산성 역시 언제 축성 되었다가 언제 폐성 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아직도 일부 지역에는 성벽의 흔적이 남아 있음을 엿볼 수 있다.
7. 양잠리산성(兩潛里山城) 2016-11-21
이 양잠리산성은 남면 양잠리(南面 兩潛里)에 자리한 토성(土城)인데, 그 윤곽을 살펴보면, 둘레 약 270미터 높이 3.3미터에 이르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토성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성이 언제 축조 되었다가 언제 폐성 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지금도 일부 지역에 성벽의 잔흔이 남아 있어 토성 연구에 놓은 자료가 되고 있다.
6. 두야리산성(斗也里山城) 2016-11-21
이 두야리산성은 근홍면 두야리(近興面斗也里)에 축성(築域)된 석성(石城)을 일컫는 것인데, 그 둘레는 약 600미터이다.
이 산성의 정확한 축조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이 지역이 왜구의 출몰이 심하였으므로 이에 대비하기 위해 축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러므로 앞의 토성산성(이 토성산성의 축성, 연대도 정확성이 없지만)이 만들어질 무렵에 이 두야리산성도 축성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또한 이 산성이 언제 폐성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지금도 부분적으로 성벽의 잔흔이 남아 있어 성곽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5. 토성산성(吐城山城) 2016-11-21
이 토성산성은 근홍면 수룡리(近興面水龍里)의 토성산(일명 테뫼산)에 축조된 산성을 일컬음인데, 축성 연대는 알 수 없다.
이 성의 규모를 살펴 보면 둘레가 590미터이고, 높이가 3.3미터로 이루어진 석성(石城)인데, 정확한 축성 연대는 알 수 없으나, 태안반도의 특수성 등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 초엽으로 생각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 무렵에 소근포진성이 축성(1514)되는데, 이는 왜구의 침입으로 인하여 태안군이 폐군(1373)된 뒤의 일이었으므로, 토성산성도 이 때 외적의 방어에 대비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토성산성은 동학혁명 때(1894) 출병(出兵)하기 위해 동학군(東學軍)이 집결했던 곳으로 역사적 의의가 매우 큰 산성이다.
동학혁명 때(1894) 폐성된 이 토성산성은 그동안 90여년 내려오면서 성벽이 허물어지고 퇴락되어 지금은 부분적으로 그 윤곽만 남아 있을 뿐이다.
4. 백화산성(白華山城) 2016-11-21
이 백화산성은 태안초등학교 뒤에 우뚝 솟아 있는 태안의 진산(鎭山)인 백화산 정상에 축조된 석성(石域)인데, 그 둘레는 2,042尺(619미터)에 높이 10尺(3.03미터) 이다.
이 산성은 고려(高麗)의 충렬왕(忠烈王)13년 정해(丁亥)에(1287) 축성되었는데, 성내에는 2개의 우물이 있었으며, 또한 봉수대(烽燧臺)가 설치되어 있어 동쪽으로는 서산의 북주산(北主山), 남쭉으로는 부석면의 도비산(島飛山)과 연락을 취했다.
그리고 이 백화산성이 언제 폐성되었는지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알 수 없으나 현재 태을암의 동쪽 약 100미터 지점에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어, 산성 연구에 도움이 될 것 같다.
태안읍지(泰安邑誌)에 따르면, 축성한지 이미 오래되어 현재는 퇴락(頹落)되어 있으나, 지세(地勢)가 사면이 절벽으로 되어 있어 사람이 발붙이기 어려운 곳이라 했다.
이와 같이 백화산성을 험난한 지세를 잘 이용하여 축성하였으므로 외적(外敵)이 접근하기 어려운 요새지(要塞地)였다.
그리고 이 백화산성은 소성현(蘇城縣) 때의 태안읍성(泰安邑城)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또한 태안군내 성곽중에서 제일 먼저 축성된 것이다
3. 태안읍성(泰安芭城) 2016-11-21
태안읍성은 태안읍 남문리에 자리하고 있는데, 조선조(朝鮮朝)의 태종(太宗) 때(1401 ~ 1418)에 축성된 석성(石城)으로서, 그 둘레는 1,561尺(473미터)에 높이 122尺 (3.6미터) 이다.
성안(城內)에는 4개의 우물이 있었고 또한 성에는 동서남북으로 4대문이 있었는데, 이 중 동남문만이 사용되었으며, 북서문은 얼마후에 폐쇄 시켰다.
왜구의 침입으로 말미암아 하나의 군이 폐군되었다고 하는 것은, 그들의 침략상(侵掠狀)이 잔악(殘惡)하였음을 여실히 입증해 주고 있는 것이다.
현재 태안군내에는 여러개의 성이 있는데, 이 중 대부분이 산성(山城)으로 축조되었지만 태안성은 읍성(邑城)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
그리고 이 태안읍성 역시 동학혁명(東學革命)때(1894) 폐성되었는데, 그러나 다행히도 구 군청 뒤쪽 민가 근처에 일부의 성벽(城壁)이 그대로 남아 있어 태안읍성(泰安邑城)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화재관리팀
  • 담당자 : 차승연
  • 연락처 : 041-670-5963
  • 최종수정일 : 2024-01-19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맨 위로